
데이터로 새로운 경험을 만드는 기업 빅스데이터(BigxData) 입니다.
Tableau Server는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의 연동을 지원합니다. 이번에는 AWS S3와 Tableau Server를 연동하여 SUPERSTORE Excel 데이터를 연결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 AWS 계정 로그인 후 보안 자격 증명
* 우측 상단부 보안 자격 증명 메뉴를 선택 합니다.

■ 액세스 키 만들기
* 액세스 키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 액세스 키를 계속 생성하시겠습니까? 질문에 V(체크) 표시를 하고 "엑세스 키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 한번 생성된 액세스 키 정보는 .csv 파일 다운로드 또는 따로 기록해서 보관 해야 합니다!
* 이 페이지를 벗어나서 비밀 액세스 키를 재 확인 시도 시, 비밀 액세스 키는 조회 되지 않아요!

* 생성한 액세스 키를 확인 합니다.

■ AWS S3 서비스 클릭
* 좌측 상단부 콘솔 홈에서 S3 서비스를 클릭 합니다.

■ 버킷 만들기
* 좌측 상단부 범용 버킷 클릭 후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 버킷 이름을 설정 합니다. 이름 설정 시 . (점)은 들어가면 안되요! Tableau Server 랑 연동 시 .(점)이 들어가면 에러가 발생해요!
* 예시로 보여 드릴게요! s3-guide-dt-hoyun ( O ), s3.guide.dt.hoyun ( X )

* 이 버킷의 퍼블릭 엑세스 차단 설정에서 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 옵션에서 "모든 퍼블릭 엑세스 차단 옵션" 은 체크 해제 해요!
* "현재 설정으로 인해 이 버킷과 그 안에 포함된 객체가 퍼블릭 상태가 될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옵션" 에는 V(체크) 해요!
* 나머지 옵션들은 그대로 적용해요!

*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해서 버킷을 만들어요!

* 마지막으로 생성한 버킷을 확인해 보아요!

■ 생성된 버킷에 엑셀파일 업로드
* 업로드 버튼을 클릭해요!

* 파일추가 버튼을 누르고 업로드할 엑셀데이터를 클릭해요!
* 이번 게시글에선 Tableau Server와 연동하여 대시보드를 만들기 위해 SUPERSTORE 엑셀 파일을 업로드 할 거에요!

* 마지막으로 업로드한 SUPERSTORE 엑셀 파일 성공여부를 확인 해요!

3. Amazon S3 .taco 드라이버 적용 |
■ Amazon S3 .taco 드라이버 다운
* https://exchange.tableau.com/ko-KR/products/868 접속 후 Amazon S3 .taco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요!
* Tableau Server가 설치된 OS에 맞는 경로로 Amazon S3 .taco 드라이버를 옮겨요!

* 다운받은 Amazon S3 .taco 드라이버를 Tableau Server 설치 경로에 이동 시켜요!
* 리눅스 같은 경우엔 [Tableau Server 설치 디렉터리]/data/tabsvc/vizqlserver/Connectors에 이동 시키면 되요!
* tsm 명령어를 활용해서 tsm restart 또는 tsm stop 후 tsm start 를 활용해서 Tableau Server를 재기동 해요!

■ Tableau Server 재기동 완료 후 접속
* 홈 화면에서 새로 만들기 메뉴를 클릭 후 게시 된 데이터 원본 메뉴를 클릭해요!

* 커넥터 메뉴를 선택 후 Amazon S3를 클릭해요!

* Amazon S3 세부 정보 입력 창을 확인해요! 세부 정보 입력 창이 아래와 같이 보이면 드라이버가 잘 적용 된거에요!

* Amazon S3 세부 정보 입력 창에 처음에 만들었던 버킷 정보를 입력해요!
* 버킷 지역, 버킷 이름, 액세스 키 ID, 암호 액세스 키 모두 입력 해야해요!

* 처음에 AWS S3, 버켓에 업로드 한 SUPERSTORE 엑셀 파일을 확인 할 수 있어요!
* Tableau Server 와 Amazon S3 연동 후 연결 버튼을 클릭해요!

* 짜잔! Tableau Server 와 Amazon S3를 연동해서 SUPERSTORE 엑셀 데이터를 가져왔어요!
* Tableau Server 와 Amazon S3 연동 과정은 여기가 마지막 이에요!

5. Tableau Server와 Amazon S3 연동 참고 사항 |
■ 참고사항

* Tableau Server와 Amazon S3 연동 관련 레퍼런스도 알려 드릴게요!
Tableau Server와 Amazon S3 연동 레퍼런스
이제까지 Tableau Server와 Amazon S3 연동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 과정이 데이터 분석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보다 전문적인 컨설팅이나 추가 지원이 필요하시면 언제든 bigxdata에 문의해 주세요! 🚀
데이터로 새로운 경험을 만드는 기업 빅스데이터(BigxData) 입니다.
Tableau Server는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의 연동을 지원합니다. 이번에는 AWS S3와 Tableau Server를 연동하여 SUPERSTORE Excel 데이터를 연결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목 차>
■ AWS 계정 로그인 후 보안 자격 증명

* 우측 상단부 보안 자격 증명 메뉴를 선택 합니다.
■ 액세스 키 만들기
* 액세스 키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 액세스 키를 계속 생성하시겠습니까? 질문에 V(체크) 표시를 하고 "엑세스 키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 한번 생성된 액세스 키 정보는 .csv 파일 다운로드 또는 따로 기록해서 보관 해야 합니다!
* 이 페이지를 벗어나서 비밀 액세스 키를 재 확인 시도 시, 비밀 액세스 키는 조회 되지 않아요!
* 생성한 액세스 키를 확인 합니다.
■ AWS S3 서비스 클릭
* 좌측 상단부 콘솔 홈에서 S3 서비스를 클릭 합니다.
■ 버킷 만들기
* 좌측 상단부 범용 버킷 클릭 후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 버킷 이름을 설정 합니다. 이름 설정 시 . (점)은 들어가면 안되요! Tableau Server 랑 연동 시 .(점)이 들어가면 에러가 발생해요!
* 예시로 보여 드릴게요! s3-guide-dt-hoyun ( O ), s3.guide.dt.hoyun ( X )
* 이 버킷의 퍼블릭 엑세스 차단 설정에서 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 옵션에서 "모든 퍼블릭 엑세스 차단 옵션" 은 체크 해제 해요!
* "현재 설정으로 인해 이 버킷과 그 안에 포함된 객체가 퍼블릭 상태가 될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옵션" 에는 V(체크) 해요!
* 나머지 옵션들은 그대로 적용해요!
*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해서 버킷을 만들어요!
* 마지막으로 생성한 버킷을 확인해 보아요!
■ 생성된 버킷에 엑셀파일 업로드
* 업로드 버튼을 클릭해요!
* 파일추가 버튼을 누르고 업로드할 엑셀데이터를 클릭해요!
* 이번 게시글에선 Tableau Server와 연동하여 대시보드를 만들기 위해 SUPERSTORE 엑셀 파일을 업로드 할 거에요!
* 마지막으로 업로드한 SUPERSTORE 엑셀 파일 성공여부를 확인 해요!
■ Amazon S3 .taco 드라이버 다운
* https://exchange.tableau.com/ko-KR/products/868 접속 후 Amazon S3 .taco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요!
* Tableau Server가 설치된 OS에 맞는 경로로 Amazon S3 .taco 드라이버를 옮겨요!
* 다운받은 Amazon S3 .taco 드라이버를 Tableau Server 설치 경로에 이동 시켜요!
* 리눅스 같은 경우엔 [Tableau Server 설치 디렉터리]/data/tabsvc/vizqlserver/Connectors에 이동 시키면 되요!
* tsm 명령어를 활용해서 tsm restart 또는 tsm stop 후 tsm start 를 활용해서 Tableau Server를 재기동 해요!
■ Tableau Server 재기동 완료 후 접속
* 홈 화면에서 새로 만들기 메뉴를 클릭 후 게시 된 데이터 원본 메뉴를 클릭해요!

* 커넥터 메뉴를 선택 후 Amazon S3를 클릭해요!
* Amazon S3 세부 정보 입력 창을 확인해요! 세부 정보 입력 창이 아래와 같이 보이면 드라이버가 잘 적용 된거에요!
* Amazon S3 세부 정보 입력 창에 처음에 만들었던 버킷 정보를 입력해요!
* 버킷 지역, 버킷 이름, 액세스 키 ID, 암호 액세스 키 모두 입력 해야해요!
* 처음에 AWS S3, 버켓에 업로드 한 SUPERSTORE 엑셀 파일을 확인 할 수 있어요!
* Tableau Server 와 Amazon S3 연동 후 연결 버튼을 클릭해요!
* 짜잔! Tableau Server 와 Amazon S3를 연동해서 SUPERSTORE 엑셀 데이터를 가져왔어요!
* Tableau Server 와 Amazon S3 연동 과정은 여기가 마지막 이에요!
■ 참고사항
* Tableau Server와 Amazon S3 연동 관련 레퍼런스도 알려 드릴게요!
Tableau Server와 Amazon S3 연동 레퍼런스
이제까지 Tableau Server와 Amazon S3 연동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 과정이 데이터 분석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보다 전문적인 컨설팅이나 추가 지원이 필요하시면 언제든 bigxdata에 문의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