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로 새로운 경험을 만드는 기업 빅스데이터(BigxData) 입니다!
Tableau Server를 운영하다 보면 사용자 세션이 너무 빨리 끊기거나, 너무 오래 유지되는 문제를 겪게 됩니다.
이럴 땐 세션 타임아웃 설정을 통해 보안과 사용자 편의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

🟣 비활동(idle) 기반 세션 타임아웃 설정
✅ 설정 방법 사용자가 아무 작업 없이 머무를 수 있는 최대 시간(분)을 지정합니다. 1. tsm configuration set -k wgserver.session.idle_limit -v <분 단위 시간> 2. tsm pending-changes apply
✅ 예시 사용자가 30분 동안 아무 작업이 없으면 자동 로그아웃 되도록 설정하려면? 1. tsm configuration set -k wgserver.session.idle_limit -v 30 2. tsm pending-changes apply
✅ 중요 - 기본값: 240분 (4시간) - 현재 설정 확인 : tsm configuration get -k wgserver.session.idle_limit - 웹 브라우저를 닫으면, 타임아웃 설정과 상관없이 즉시 세션이 종료됩니다. - 세션 타임아웃 설정 후 Tableau Server 서비스 재기동이 필요합니다.
|
🟣 최대 세션 수명 설정 (Session Lifetime)
✅ 설정 방법 사용자가 활동 중이더라도, 로그인한 이후 특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 로그아웃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1. tsm configuration set -k wgserver.session.apply_lifetime_limit -v true 2. tsm configuration set -k wgserver.session.lifetime_limit -v <분 단위 시간> 3. tsm pending-changes apply
✅ 예시 사용자가 로그인 후 8시간(480분)이 지나면 무조건 로그아웃 되게 하려면? 1. tsm configuration set -k wgserver.session.apply_lifetime_limit -v true 2. tsm configuration set -k wgserver.session.lifetime_limit -v 480 3. tsm pending-changes apply
✅ 중요 - apply_lifetime_limit을 true로 설정해야만 lifetime_limit이 적용 됩니다. - 현재 설정 확인 : tsm configuration get -k wgserver.session.lifetime_limit - 세션 수명 설정 후 Tableau Server 서비스 재기동이 필요합니다. - 아래 중 하나라도 충족되면 로그아웃 됩니다.
|
💡 정리
설정항목 | 의미 | 기본값 |
wgserver.session.idle_limit | 사용자가 비활동 상태일 때 제한 시간 | 240분 |
wgserver.session.lifetime_limit | 로그인 후 최대 유지 시간 | 없음 |
apply_lifetime_limit | 최대 세션 시간 제한 기능 활성화 여부 | false |
⚠️ 세션 타임아웃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
Tableau Server에서 idle_limit이나 lifetime_limit을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세션이 예상대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Tableau Server 설정 외에도, 네트워크 환경을 함께 점검해야 합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중간 네트워크 장비들이 세션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들 장비가 자체적으로 세션 타임아웃 설정을 가지고 있는 경우, Tableau Server의 설정보다 먼저 세션을 끊어버릴 수 있습니다.
|
* Tableau Server 세션 타임아웃 설정 관련 레퍼런스도 알려 드릴게요!
Tableau Server 세션 타임아웃 레퍼런스
Tableau Server 운영 중, 보안 정책이나 업무 특성에 따라 타임아웃 정책을 조정해 보세요!
짧으면 불편하고, 길면 보안에 위험할 수 있습니다. 환경에 맞게 균형 있는 설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
이 가이드가 Tableau 환경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보다 전문적인 컨설팅이나 추가 지원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BigxData에 문의해 주세요! 🚀
문의하기
데이터로 새로운 경험을 만드는 기업 빅스데이터(BigxData) 입니다!
Tableau Server를 운영하다 보면 사용자 세션이 너무 빨리 끊기거나, 너무 오래 유지되는 문제를 겪게 됩니다.
이럴 땐 세션 타임아웃 설정을 통해 보안과 사용자 편의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
🟣 비활동(idle) 기반 세션 타임아웃 설정
✅ 설정 방법
사용자가 아무 작업 없이 머무를 수 있는 최대 시간(분)을 지정합니다.
✅ 예시
사용자가 30분 동안 아무 작업이 없으면 자동 로그아웃 되도록 설정하려면?
2. tsm pending-changes apply
✅ 중요
- 기본값: 240분 (4시간)
- 현재 설정 확인 : tsm configuration get -k wgserver.session.idle_limit
- 웹 브라우저를 닫으면, 타임아웃 설정과 상관없이 즉시 세션이 종료됩니다.
- 세션 타임아웃 설정 후 Tableau Server 서비스 재기동이 필요합니다.
🟣 최대 세션 수명 설정 (Session Lifetime)
✅ 설정 방법
사용자가 활동 중이더라도, 로그인한 이후 특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 로그아웃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2. tsm configuration set -k wgserver.session.lifetime_limit -v <분 단위 시간>
✅ 예시
사용자가 로그인 후 8시간(480분)이 지나면 무조건 로그아웃 되게 하려면?
2. tsm configuration set -k wgserver.session.lifetime_limit -v 480
✅ 중요
- apply_lifetime_limit을 true로 설정해야만 lifetime_limit이 적용 됩니다.
- 현재 설정 확인 : tsm configuration get -k wgserver.session.lifetime_limit
- 세션 수명 설정 후 Tableau Server 서비스 재기동이 필요합니다.
- 아래 중 하나라도 충족되면 로그아웃 됩니다.
비활동 시간이 idle_limit을 초과한 경우
세션 수명이 lifetime_limit을 초과한 경우
💡 정리
⚠️ 세션 타임아웃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
Tableau Server에서 idle_limit이나 lifetime_limit을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세션이 예상대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Tableau Server 설정 외에도, 네트워크 환경을 함께 점검해야 합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중간 네트워크 장비들이 세션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로드밸런서 (Load Balancer)
🌐 리버스 프록시 (Reverse Proxy)
🔒 웹 방화벽 또는 보안 게이트웨이 장비
이들 장비가 자체적으로 세션 타임아웃 설정을 가지고 있는 경우, Tableau Server의 설정보다 먼저 세션을 끊어버릴 수 있습니다.
* Tableau Server 세션 타임아웃 설정 관련 레퍼런스도 알려 드릴게요!
Tableau Server 세션 타임아웃 레퍼런스
Tableau Server 운영 중, 보안 정책이나 업무 특성에 따라 타임아웃 정책을 조정해 보세요!
짧으면 불편하고, 길면 보안에 위험할 수 있습니다. 환경에 맞게 균형 있는 설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
이 가이드가 Tableau 환경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보다 전문적인 컨설팅이나 추가 지원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BigxData에 문의해 주세요! 🚀
문의하기